명지대학교 전기공학과에서는 전공관련 공학이론을 이해, 분석 및 종합하고, 이를 실험, 설계실습 및 생산에 창의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합니다.
전화번호 | 031-330-6971 |
---|---|
팩스번호 | 031-330-6977 |
위치 | 제3공학관 |

학과소개 및 특성
인류 사회의 결제 및 문화의 급속한 진보는 전기 에너지의 활용과 함께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으며, 현대 문명의 전기에 대한 의존도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전기공학에서의 전기는 에너지원으로서의 전기와 정보 전달을 위한 매체로서의 전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두 가지 의미의 전기를 안정적으로 생산, 전송, 활용하기 위한 학문으로서 전력시스템, 전력전자, 전기전자 재료, 반도체, 제어 시스템, 로봇공학 등의 연구 분야를 두고 있다. 개교 이래 본 학과에서는 철저한 이론 및 실험 교육과 현장 연계를 통한 실무 교육의 병행을 통하여 시대 요구에 부응하는 기술력과 창의력을 갖춘 전문기술인을 양성해 왔으며, 국가지정 우수공학연구센터(차세대전력기술연구센터)를 유치하여 전기공학분야의 우수학과로 인정받고 있다. 교육과정은 단계별로 세분화되어 운영되고, 1단계 과정인 1‧2학년 과정에서는 전기공학의 기본이론과 전문기술인으로의 자질을 갖추기 위한 소양을 기른다. 3‧4학년 과정인 2단계에서는 전력시스템, 전력전자, 전기전자 재료, 제어 및 자동화 시스템 등의 전공분야에 대한 심화 학습이 이루어진다. 강의와 실험을 병행하여 이해력과 창의력을 증진시키고, 아울러 현장 실습과 프로젝트를 통하여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과 사회적응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교육목표
공과대학은 21세기 정보화와 지식기반 사회가 요구하는 엔지니어를 양성하기 위하여 10개 학과, 즉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화학공학과, 신소재공학과, 환경에너지공학과, 컴퓨터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교통공학과, 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를 설치하여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용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과 더불어 연구분야에서도 공과대학 교수들의 눈부신 업적은 명지대학교의 위상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공과대학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공학교육혁신센터를 설치하여 국제기준에 맞는 공학교육 혁신을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다.
기초확립
산업경제, 사회문화, 자연환경 등 제반 문제에 대한 공학적 관점의 이해력
- Ⅰ-Ⅰ. 수학, 기초과학적 지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Ⅰ-Ⅱ. 공학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수학, 기초과학적 지식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
전공이론
전공관련 공학이론을 이해, 분석 및 종합하고, 이를 실험, 설계실습 및 생산에 창의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Ⅱ-Ⅰ. 전기공학의 기본 원리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Ⅱ-Ⅱ. 실험 장비의 특징과 사용법을 익혀 문제를 분석하고 문제 환경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
전공실무
전기공학 관련 기술의 이해, 분석 방법 및 설계도구의 사용을 숙지하여 사회에서 요구하는 기술 및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공학실무 능력 배양
- Ⅲ-Ⅰ. 전기공학 관련 기술의 이해, 분석방법 및 설계도구의 사용을 숙지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
- Ⅲ-Ⅱ. 사회에서 요구하는 기술 및 제품을 개발 할 수 있는 공학 실무능력을 갖추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평생교육
국내외의 전기기술 분야의 새로운 지식과 기술에 대해 열린 자세로 받아들일 수 있는 탐구능력 및 지속적인 자아 개발 능력 배양
- Ⅳ-Ⅰ. 원활한 의사소통, 협동능력 및 리더쉽을 기반으로 전기기술이 사회, 경제, 윤리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Ⅳ-Ⅱ. 새로운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정신을 갖추어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능력
학과연혁
2019.02. | 현)학사 4,726명, 석사 489명, 박사 79명 배출 |
---|---|
2016.03. | 전기전자정보통신공학부 전기공학과로 변경 |
2006.03. | 전기공학과로 분리 |
2002.03. | 전기전자공학계열(전기공학과)로 변경 |
1998.11. | 전기제어계측공학부를 전기정보제어공학부로 명칭 변경 |
1997.11. | 전기전자공학부를 전기제어계측공학부와 전자정보통신공학부로 분리 |
1995.03. |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를 전기전자공학부로 통합 |
1984.03. | 명지대학교로 승격 |
1982.02. | 명지대학 전기공학과 발기총회 개최 |
1980.09. | 서울캠퍼스를 용인캠퍼스로 이전하여 통합 |
1978.10. | 용인캠퍼스에 전기공학과 신설 |
1974.01. | 대학원 박사과정 신설 |
1970.03. | 대학원 석사과정 신설 |
1963.12. | 명지대학을 설립하여 전기공학과 설치 |
1962.02. | 서울문리실과대학에 전기과 신설 |
전공이수로드맵
전문교양, MSC, 전공 교과목 이수체계도

- 방목기초교육대학 수준별 수업 안에 따른 영어성적우수자는 영어1/2 대신 영어3/4를 영어회화1/2 대신 영어회화3/4를 이수하며, 영어영역에 대한 이수면제는 허용하지 않음.
- 15학번까지 신입생세미나 필수
- 산업경영(구 공업경영) : 09~17학번까지 일반교양 공학영역에서 이수하면 전문교양 학점으로 대체인정 가능함.
- 전공은 필수 교과목과 전공트랙 [전력전자, 전기전자재료, 전력계통, 자동제어]중 아래 졸업 시기별 기준에 따라 이수체계도에 맞게 이수해야 함.
(2019년 2월 이후 졸업생 적용) 전공 트랙중 최소 한 트랙의 모든 교과목 또는 두 트랙을 선택하여 그 중 한 트랙의 3개 이상 교과목과 다른 한 트랙의 2개 이상 교과목 이수- 전력전자: 전력전자공학, 전력전자시스템설계, 전력변환기응용, 에너지변환공학
- 전기전자재료: 반도체물성, 반도체소자, 반도체설계, 전기전자재료
- 전력계통: 전력시스템공학, 전력시스템설계, 배전자동화, 산업전력시스템
- 자동제어: 제어공학, 현대제어, 제어시스템설계, 임베디드로보틱스
- 공과대학 공통교과목인 융합창의공학설계(설계 1학점), 벤처창업과사업성평가, 전공융합교과목 (프로그램별 교과인정 다름)은 수강시 전공으로 인정함.
설계교과목 이수체계도

- 1공학입문설계는 다른 모든 전공 설계교과목의 선수과목이다.
- 2요소설계 교과목(기초설계 및 종합설계 제외한 설계교과목)들은 전공 실험필수 교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 3캡스톤디자인1,2 수강 이전에 공학입문설계 교과목을 포함해서 최소 설계 5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하고, 캡스톤디자인1과 캡스톤디자인2 중 나중에 수강하는 교과목(설계 3학점)은 수강 이전에 최소 설계 9학점 이상 이수한 경우에만 신청 가능하다.
- 4전공은 필수 교과목과 전공트랙 [전력전자, 전기전자재료, 전력계통, 자동제어]중 아래 졸업 시기별 기준에 따라 이수체계도에 맞게 이수해야 함.
교과과정
이수학점(18학번 이후)
공학인증 이수학점(심화과정)
전문교양 | MSC | 전공(설계) | 자유선택 | 총 학점 |
---|---|---|---|---|
21 | 30/32 | 70(12) | - | 134 |
비인증 이수학점(일반과정)
공통교양 | 핵심교양 | 학문기초교양 | 일반교양 | 전공 | 자유선택 | 총 학점 |
---|---|---|---|---|---|---|
17 | 12 | 15 | 10 | 70 | 10 | 134 |
공학인증 전문교양 및 MSC 교과목(심화과정)
전문교양 | MSC |
---|---|
|
|
방목기초교육대학 수준별 수업 안에 따른 영어성적우수자는 영어 1/2 대신 영어 3/4를 영어회화 1/2 대신 영어회화 3/4를 이수하며, 영어영역에 대한 이수면제는 허용하지 않음
교과과정표(2020학년도)

- 1채플: 0.5 학점씩 4회 이수(졸업시 2학점부여), 단 수강신청최대가능학점(18)에 포함되지 않음
- 2방목기초교육대학 수준별 수업 안에 따른 영어성적우수자는 영어1/2 대신 영어3/4를 영어회화1/2 대신 영어회화 3/4를 이수하며, 영어영역에 대한 이수면제는 허용하지 않음.
- 3IPP형 장기현장실습에 참여한 학생이 해당 교과목 이수 시 캡스톤디자인1 또는 캡스톤디자인2 로 대체인정 가능함.
- 4SEP(구 CK) 또는 LINC+ 사업의 연계전공에 참여한 학생이 융합캡스톤디자인1,2를 이수 시 융합캡스톤디자인1은 캡스톤디 자인1로 융합캡스톤디자인2는 캡스톤디자인2로 대체인정 가능함.
- 5공과대학 공통 교과목으로 운영하며, 전기공, 전자공, 기계공학과 학생들이 수강할 경우 전공(설계학점 포함)으로 인정함
- 15학번까지 신입생세미나 필수
- 산업경영(구 공업경영) : 09~17학번까지 일반교양 공학영역에서 이수하면 전문교양 학점으로 대체인정 가능함.
- 전공은 심화프로그램 기준에 따라 일반영역/전문영역으로 구분함.
- 전공은 필수 교과목과 전공트랙 [전력전자, 전기전자재료, 전력계통, 자동제어]중 아래 졸업 시기별 기준에 따라 이수체계도에 맞게 이수해야 함.
(2019년 2월 이후 졸업생 적용) 전공 트랙중 최소 한 트랙의 모든 교과목 또는 두 트랙을 선택하여 그 중 한 트랙의 3개 이상 교과목과 다른 한 트랙의 2개 이상 교과목 이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