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과 문학이라는 인문학의 중심적인 학문의 연마를 통해 고정된 틀에 갇히지 않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이고 자발적으로 개척하는 자유인의 육성을 지향합니다.
전화번호 | 02-300-0520 |
---|---|
팩스번호 | 02-300-0504 |
위치 | 본관 7층 |

학과소개 및 특성
국어국문학과는 한국어 및 한국 문학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은 물론 세계에서도 활약할 수 있는, 역사와 문화에 대한 폭넓고 깊이 있는 이해를 가진 창의적이고 실천적인 인재를 길러내고자 합니다. 또한 언어학과 문학이라는 인문학의 중심적인 학문의 연마를 통해 고정된 틀에 갇히지 않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이고 자발적으로 개척하는 자유인의 육성을 지향합니다.
국어국문학과에서는 국어음운·국어문법·국어사 등 국어학에 관한 지식, 구비문학·고전소설·한문학 등의 한국 고전문학에 관한 지식, 현대소설· 현대시·현대희곡 등 한국 근현대문학에 관한 지식을 통해 국어국문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르침은 물론, 이를 확장하여 더 넓은 세상에서 능동적으로 활약할 수 있도록 문화론, 창작론, 국어교육론, 출판론, 방송론 등 실천적인 지식도 가르치고 있습니다.
교육목표
기독교 진리를 바탕으로 개인 및 사회와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 세계 인류 문화의 계승과 창달을 능동적이고 창조적으로 선도할 수 있도록 한국의 언어와 문학, 그리고 문화에 대한 전문 지식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성실 유능한 인재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의 체계와 특성을 이해하고, 언어생활의 제반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며, 문학 전반에 걸친 깊이 있는 연구와 활동을 통해 고전문학, 현대문학과 관련된 여러 현상과 가치를 탐구하며, 한국의 전통 문화와 현대 문화를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하는 방안을 탐구합니다.
학과연혁
2011. | 현재 인문대학 어문계열 국어국문학과 | 1993.03.01. | 교육대학원에 석사과정으로 국어교육전공 신설 |
---|---|---|---|
1989.10.28. | 용인캠퍼스에서 서울캠퍼스로 이전 | 1973.01.22 | 대학원 박사과정 국어국문학과 개설 |
1969.02.20. | 대학원 석사과정 국어국문학과 개설 | 1963.12.16 | 4년제 명지대학 국어국문학과로 개칭 |
1963.10.21. | 명지초급대학 국어과로 개칭 | 1956.02.08. | 서울문리사범대학 국어과로 발족 |
전공이수로드맵
-
기초과목
-
- 1학년 1학기
- 현대문학 : 한국현대사특강
-
- 1학년 2학기
- 국어학 : 국어학의 이해
- 현대문학 : 한국현대소설특징
-
- 2학년 1학기
- 국어학 : 국어사
- 현대문학 : 현대문학사, 현대소설론
-
-
심화/응용과목
-
- 2학년 2학기
- 현대문학 : 한국현대사특강
-
- 3학년 1,2학기
- 국어학 : 국어학강독, 국어표기법
- 고전문학 : 한문학선독, 한국한시론, 고전문학강독
- 현대문학 : 창작론, 한국문화비평론, 영상매체문학론
-
- 4학년 1,2학기
- 국어학 : 국어학연습1,2, 중세국어문법론
- 고전문학 : 민속문학론, 고전작가집중탐구, 고전문학연습
- 현대문학 : 현대시연습, 한국소설연습, 현대문학특강
-
전과 및 전입사정 기준
대학 | 학부(과) | 전입사정 기준 | 비고 |
---|---|---|---|
인문대학 | 국어국문학과 | 성적 (30%) 면접 (70%) |
국어국문학 체계 전반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정도를 |
교과과정
학년 | 중점 | 교육과정 |
---|---|---|
1학년 | 국어국문학에 대한 개괄적 이해 | 국어학의 이해, 현대시소설 특강 |
2학년 | 국어국문학에 대한 기초적 이해 | 국어사, 국문학사, 음운론, 소설론, 시가론 |
3학년 | 국어국문학에 대한 심화•확장된 이해 | 국어학사, 창작론, 문학강독, 한문학, 영상론, 문화론, 국어교육론 |
4학년 | 국어국문학의 응용 및 진로 모색 | 소설과 시의 실제와 분석, 국어국문학의 활용과 기획 |